(단위 : 백만톤 CO2eq)
구분 | 2018년 | 2050년 배출량 | ||
1안 | 2안 | 3안 | ||
합계(순배출량)* | 727.6(686.3) | 25.4 | 18.7 | Net-Zero |
전환 | 269.6 | 46.2 | 31.2 | 0.0 |
산업 | 260.5 | 53.1 | 53.1 | 53.1 |
수송 | 98.1 | 11.2(-9.4) | 11.2(-9.4) | 2.8 |
건물 | 52.1 | 7.1 | 7.1 | 6.2 |
농축수산 | 24.7 | 17.1 | 15.4 | 15.4 |
폐기물 | 17.1 | 4.4 | 4.4 | 4.4 |
탈루 등 | 5.6 | 1.2 | 1.2 | 0.7 |
흡수원 | -41.3 | -24.1 | -24.1 | -24.7 |
CCUS | - | -95.0 | -85.0 | -57.9 |
수소 | - | 13.6 | 13.6 | 0.0 |
(단위 : 백만톤 CO2eq)
부문 | ‘50년 | 주요 내용 | ||
1안 | 2안 | 3안 | ||
순배출량 | 25.4* | 18.7* | Net- Zero* |
|
전환 | 46.2 | 31.2 | 0 |
‧ 1안석탄발전 최소유지, 2안석탄발전 중단, 3안화석연료발전 중단 ‧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수소연료전지, 동북아그리드, 무탄소 新전원 등 전원믹스 다양화, 분산화 |
산업 | 53.1 | 53.1 | 53.1 |
‧ 고효율(열손실 감소기술, 노후설비 교체 등) 공장ㆍ산단 전환 ‧ 무탄소공정 전환(수소환원제철 기술 100% 도입, 불소계 온실가스(F-gas) 저감설비 설치 등) ‧ 화석 연ㆍ원료→ 재생 연·원료 전환 등 |
수송 | 11.2** (-9.4) |
11.2** (-9.4) |
2.8 |
‧ 전기·수소차 1·2안76% (잔여차량 대체연료 활용) ~3안97% ** 대체연료(e-fuel)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는 직접공기포집(DAC, Direct Air Capture)으로 확보 → 상쇄량 9.4백만톤 ‧ 수송 수요관리 강화 (대중교통 확대 등) ‧ 철도 전력ㆍ수소화 및 해운ㆍ항공 선진화(바이오연료 전환 등) |
건물 | 7.1 | 7.1 | 6.2 |
‧ 제로에너지 건물, 그린리모델링 확대 등 에너지자립률 향상 ‧ 고효율기기 보급 및 스마트에너지(건물·가정 에너지관리시스템(BEMS, HEMS)) 관리 ‧ 도시가스 일부 전력화, 전력 수요관리(1~8% 감축) ‧ 3안 재생에너지(수열), 지역난방 등 활용한 도시가스 등 추가 감축 |
농축 수산 |
17.1 | 15.4 | 15.4 |
‧ 농기계·어선 전력·수소화, 가축분뇨 에너지화 확대 ‧ 저메탄·저단백사료 보급 ‧ 2·3안 식생활 개선 및 축산 생산성 향상 |
폐기물 | 4.4 | 4.4 | 4.4 |
‧ 폐기물 감량 및 재활용 확대, Bio-플라스틱 등 탈화석화 ‧ 직매립 금지, 열회수 확대 등 소각‧매립 개선 |
흡수원 | -24.1 | -24.1 | -24.7 |
‧ 산림가꾸기 등 흡수능력 강화, 댐 홍수터 및 연안습지ㆍ바다숲 조성 등 ‧ 3안 장수명 목재 생산확대, 재해 피해 최소화, 초지면적 확대 |
CCUS | -95 | -85 | -57.9* |
‧ (CCS) 국내·외 육상·해저지층 등 활용 ‧ (CCU) 다양한 기술활용(화학적 전환, 생물학적 전환, 광물탄산화 등) * 3안에서 CCUS 가용량은 81.8백만톤이나, 탄소중립(Net-Zero)를 위해 실제 필요한 처리량은 57.9백만톤임 |
수소 | 13.6 | 13.6 | 0 |
‧ 수입 및 수전해 등을 통해 생산한 수소 공급 ‧ 추출·부생수소 생산 3안0~1·2안9% |
탈루 | 1.2 | 1.2 | 0.7 | ‧ 천연가스 사용 감축으로 누출량 최소화 |
(단위 : TWh)
구분 | 산업 | 수송 | 건물 | 농축수산 | 수소 생산 | CCUS | 합계 |
1안 | 503.6 | 84.1 | 296.7 | 25.1 | 110.9 | 192.0 | 1,212.4 |
2안 | 285.7 | 156.0 | 1,165.4 | ||||
3안 | 71.3 | 277.1 | 236.0 | 102.2 | 1,215.3 |
(단위 : TWh, 괄호안은 %)
구분 | 원자력 | 석탄 | LNG | 재생E | 연료 전지 |
동북아 그리드 |
무탄소 신전원 |
부생 가스 |
합계 | 배출량 (백만톤) |
1안 | 89.9 | 19.1 | 101.1 | 710.7 | 121.4 | 33.1 | 177.2 | 3.9 | 1,256.4 | 46.2 |
(7.2%) | (1.5%) | (8.0%) | (56.6%) | (9.7%) | (2.6%) | (14.1%) | (0.3%) | (100%) | ||
2안 | 86.9 | 0.0 | 92.2 | 710.6 | 121.4 | 33.1 | 159.6 | 3.9 | 1,207.7 | 31.2 |
(7.2%) | (0.0%) | (7.6%) | (58.8%) | (10.1%) | (2.7%) | (13.2%) | (0.3%) | (100%) | ||
3안 | 76.9 | 0.0 | 0.0 | 891.5 | 17.1 | 0.0 | 270.0 | 3.9 | 1,259.4 | 0 |
(6.1%) | (0.0%) | (0.0%) | (70.8%) | (1.4%) | (0.0%) | (21.4%) | (0.3%) | (100%) |
구분 | 2018년 | 2050년 |
합계 | 260.5백만톤 | 53.1백만톤 |
o 직접배출 | 204.2백만톤 | 27.6백만톤 |
o 공정배출 | 56.3백만톤 | 25.5백만톤 |
(단위 : 백만TOE)
(단위 : 백만톤CO2eq)
도로 | 철도 | 해운 | 항공 | |
‘50년 배출량 | 1.0(3안) ~ 9.4(1·2안) 상쇄 : 0 (3안) ~ -9.4 (1·2안)) |
0 | 0.3 | 1.5 |
(단위 : 백만TOE)
(단위 : 백만톤CO2eq)
구분 | 1·2안 | 3안 |
전환방향 | o 기존 자동차 산업구조, 대체연료 (E-fuel 등) 기술개발 전제 |
o 상용화 기술을 중심으로 탄소중립 실현방안 제시 |
세부내용 | o 전기‧수소차 76% 이상 보급 o 잔여차량 E-fuel 등 100% 보급 |
o 전기차 80% 이상 o 수소차 등 대안 17% o 잔여 내연차 3% 미만 |
온실가스 배출량 |
o 9.4백만톤* | o 1.0백만톤 |
(단위 : 백만TOE)
(단위 : 백만톤CO2eq)
1안 | 2·3안 |
국민동참(자발적 동참) 등의 적용을 통한 에너지수요 감소 (최종 에너지사용량의 1~3%) |
기후환경비용 등 행태개선 강화를 통한 에너지수요 감소 (최종 에너지사용량의 4~8% 절감) |
(단위 : 백만톤 CO2eq)
구분 | 2018년 | ’50년 전망 | |||
1안 | 2안 | 3안 | |||
온실가스 배출 |
합 계 | 24.7백만톤 | 17.1백만톤 | 15.4백만톤 | 15.4백만톤 |
에 너 지 | 3.5백만톤 | 0.2백만톤 | 0.2백만톤 | 0.2백만톤 | |
비에너지 | 21.2백만톤 | 16.9백만톤 | 15.2백만톤 | 15.2백만톤 |
(단위 : 백만TOE)
(단위 : 백만톤CO2eq)
1안 | 2안 | 3안 |
· 연료전환, 영농법 개선 · (가축관리) 저메탄, 저단백질 사료 보급 |
· 연료전환, 영농법 개선 · (가축관리) 저메탄, 저단백질 사료 보급 · (식생활 개선) 식단변화, 대체가공식품 이용 확대 |
· 연료전환, 영농법 개선 (가축관리) 저메탄, 저단백질 사료보급. 축산 생산성 향상 (식생활 개선) 식단변화, 대체가공식품 이용 확대 |
구분 | 2018년 | 2050년 | |
온실가스 배출 |
합계 | 17.1백만톤 | 4.4백만톤 |
매립 | 7.8백만톤 | 1.6백만톤 | |
소각 | 7.1백만톤 | 1.3백만톤 | |
하폐수 | 1.7백만톤 | 1.4백만톤 | |
생물학적 처리 | 0.4백만톤 | 0.1백만톤 |
(단위 : 백만톤)
(단위 : 백만톤CO2eq)
구분 | 1~3안 | |
감량률* | 재활용률** | |
생활 폐기물 | ‘50년 기준전망 대비 25% | ‘18년 62% → ’50년 90% |
사업장 폐기물 | ‘18년 82% → ’50년 94% | |
지정 폐기물 | ‘18년 66% → ’50년 70% |
연도 | 2018년 | 2050년 | |
1·2안 | 3안 | ||
온실가스 흡수량 |
41.3 백만톤 |
o 총 24.1백만톤 - 산림 : 22.7백만톤 - 기타* : 1.4백만톤 * 댐 홍수터, 해양 연안, 내륙습지, 바다숲 |
o 총 24.7백만톤 -산림 : 23.1만톤 -기타* : 1.6백만톤 * 댐 홍수터, 해양 연안, 내륙습지, 바다숲, 초지 |
(단위 : 백만톤 CO2e)
구분 | 2018년 | 2050년 | ||
1안 | 2안 | 3안* | ||
① 저장(CCS) | - | 60 | 42.5 | |
② 활용(CCU) | - | 35 | 025 | 15.4 |
처리량 | 총합 | 95 | 85 | 57.9 |
(단위 : 백만톤 H2)
부 문 | 2018년 | 2050년 | |||
1안 | 2안 | 3안 | |||
수요량 | 합계 | - | 29.2 | 27.7 | 27.5 |
① 전환 | - | 14.0 | 13.2 | 14.2 | |
② 산업 | - | 10.6 | 10.6 | 10.6 | |
③ 수송 | - | 2.8 | 2.8 | 1.5 | |
④ 농축수산 | - | 0.003 | 0.003 | 0.003 | |
⑤ CCUS | - | 1.6 | 1.1 | 1.1 |
(단위 : 백만톤 H2)
부 문 | 2018년 | 2050년 | |||
1안 | 2안 | 3안 | |||
공급량 | 합계 | - | 29.2 | 27.7 | 27.5 |
① 해외 수입 수소 | - | 23.9 (82.4%) |
22.5 (81.5%) |
22.0 (80.0%) |
|
② 수전해 수소 | - | 2.6 (8.9%) |
2.6 (9.3%) |
5.5 20.0%) |
|
③ 추출 수소 + CCUS | - | 1.5 (5.2%) |
1.5 (5.5%) |
0 | |
④ 부생 수소 | - | 1.0 (3.5%) |
1.0 (3.7%) |
0 |